이케다 리요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케다 리요코는 일본의 만화가로, 1967년 데뷔하여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르페우스의 창》 등의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만화, 애니메이션, 다카라즈카 가극 등으로 제작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9년에는 만화 활동을 재개했으며, 2009년에는 프랑스 문화에 기여한 공로로 레종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 만화가 외에도 성악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음악대학 동문 - 아와야 노리코
아와야 노리코는 "이별의 블루스"로 유명한 일본의 가수 겸 배우로, 클래식 성악 전공을 살려 대중가요를 부르며 일본 샹송의 선구자로 인정받았고, 홍백가합전 출연 및 다양한 활동을 펼친 대중음악계의 거장이다. - 도쿄 음악대학 동문 - 쿠로야나기 테츠코
쿠로야나기 테츠코는 일본의 배우, 탤런트, 사회자, 작가, 유니세프 친선대사로 활동하며, 자전적 소설 『창가의 토토』와 일본 최장수 토크쇼 『테츠코의 방』으로 유명하다. - 오사카시 출신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오사카시 출신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오사카부 출신 - 마에다 아키라
마에다 아키라는 일본의 격투기 선수이자 프로레슬러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하여 UWF, 링스를 거쳐 종합격투기 무대에서 활동했으며, 1999년 은퇴 시합을 갖고 K-1 슈퍼바이저로 참여하기도 했다. - 오사카부 출신 - 도마시노 겐지
도마시노 겐지는 198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1989년 신인왕을 수상하고 빠른 발과 수비력을 갖춘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야구 해설가이다.
이케다 리요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47년 12월 18일 |
출생지 | 오사카, 일본 |
국적 | 일본 |
직업 | 만화가, 가수 |
활동 기간 | 1967년 - 현재 (만화가) |
장르 | 순정만화 역사만화 |
대표작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빠에게… 올훼스의 창 |
수상 | |
수상 내역 | 제9회 일본 만화가 협회상 우수상 (올훼스의 창) 레지옹 도뇌르 훈장 |
관련 인물 | |
영향 받은 인물 | 황미나 김혜린 신일숙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이케다 리요코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오사카부 출신으로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32] 1967년 《장미 저택의 소녀》(バラ屋敷の少女|바라야시키노 쇼조일본어)로 만화가로 데뷔했다. 1972년부터 슈에이샤의 소녀 만화 잡지 《주간 마가렛》(週刊マーガレット|슈칸 마가렛토일본어)에 대표작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프랑스 혁명 전후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단행본 판매량 1200만 부를 넘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32] 이후 애니메이션과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공연으로도 제작되었다.
이케다 리요코의 작품, 특히 《베르사유의 장미》와 《오르페우스의 창》(オルフェウスの窓|오르페우스노 마도일본어)은 대한민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으며, 1980년대 순정 만화계에서 서양 배경의 시대물이 주류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한때 성악가를 지망하여 만화계를 떠나기도 했으나, 1999년부터 다시 작품 활동을 재개하였다.[32] 복귀 후에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를 만화화한 《니벨룽의 반지》(ニーベルンクの指輪|니베룽쿠노 유비와일본어, 2001년 ~ 2002년) 등을 발표했다. 2005년부터는 《베르바라kids》(ベルばらkids|베루바라 키즈일본어)를 아사히 신문에 연재했으며, 2007년부터는 배용준 주연의 한국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만화판을 연재하기도 했다.[33]
2009년,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통해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종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를 수여받았다.[3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오사카부오사카시히가시요도가와구가미신조에서 태어났다.[15] 아버지는 이혼 경력이 있었고, 어머니는 무가 출신으로 직업 군인의 딸이었다. 이케다는 이들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15] 교사가 되고 싶었던 어머니의 교육열 덕분에 어릴 때부터 많은 예능 교육을 받았다. 노래, 서예, 고토, 피아노, 성악, 다도, 회화, 주산, 화도, 영어 등을 배웠다.[15] 하지만 공상을 즐기고 행동이 느렸으며, 외모에 대한 콤플렉스도 있어 혼자만의 세계에 빠져 지내는 경향이 있었다.[15] 이후 가족이 관동 지방으로 이사하면서 말, 기후, 풍경이 모두 다른 환경에 적응하며 자기 주장을 표현하기 시작했다고 한다.[15]중학생이 되면서 일기를 쓰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이야기'를 창작하는 것에 몰두했다. 창작 민화, 동화, 연애 소설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글을 썼다.[15]
학력은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 교육 대학 문학부 철학과에 진학했다.[15][32] 대학 시절에는 철학을 공부하는 한편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했다.[2] 1960년대 후반 일본의 신좌파 운동과 학생 시위의 영향을 받아, 일본 공산당의 청년 조직인 일본 민주 청년 동맹에 가입하기도 했다.[2]
대학 6학년 때 대표작인 《베르사이유의 장미》 연재를 시작하면서[3][4] 만화가로서의 활동이 매우 바빠졌다. 이로 인해 7년간 다녔던 대학을 결국 중퇴했다.[3][4] 만화가 데뷔는 그보다 앞선 1967년 《장미 저택의 소녀》( バラ屋敷の少女|바라야시키노 쇼조일본어 )였다.[32]
2. 2. 만화 경력
오사카 출신으로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32] 본래 학자를 지망했으나, 대학 입학 1년 만에 아버지로부터의 금전적 지원이 끊기면서 생계를 위해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이 시기 일본 공산당 계열의 일본 민주 청년 동맹(민청 동맹)에 가입하여 학생 운동을 경험하기도 했다.[16] 초기에는 출판사에 작품을 가져갔으나 기술의 미숙함을 지적받고, 대본집을 위한 출판사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 무렵 경제적으로 어려워 원고료를 받기 전까지 5JPY짜리 후(麩) 2개로 3일을 버틴 적도 있었다고 한다.[16] 2~3년간의 밑바닥 생활 끝에 출판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아 1967년 《장미 저택의 소녀》(バラ屋敷の少女|바라 야시키노 쇼조일본어)로 데뷔했다.[5][16]1972년부터 슈에이샤의 소녀 만화 잡지 《주간 마가렛》에 대표작 《베르사유의 장미》(ベルサイユのばら|베르사이유노 바라일본어) 연재를 시작했다. 이 작품은 고등학교 2학년 때 읽은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리 앙투아네트』에서 영감을 받아 구상한 것이다.[17] 연재 중에는 석고 데생이나 유화 등 본격적인 그림 공부를 병행했다. 《베르사유의 장미》는 프랑스 혁명 전후의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며, 단행본 판매량이 1200만 부를 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32] 이 작품의 성공으로 바쁜 일정 탓에 대학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7년 만에 중퇴했지만, 소녀 만화가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작품은 이후 애니메이션, 다카라즈카 가극, 실사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제작되었다.[32][9]
이케다 리요코는 역사적 사건(프랑스 혁명, 러시아 혁명 등)을 바탕으로 한 소녀 만화를 다수 집필했으며, 외국 배경 설정과 중성적인 주제는 《베르사유의 장미》와 《오르페우스의 창》(オルフェウスの窓|오르페우스노 마도일본어)의 큰 성공 요인이 되었다.[6] 1974년에는 《오빠에게…》(おにいさまへ…|오니이사마에…일본어)를, 1975년에는 《오르페우스의 창》의 연재를 시작했다. 《오르페우스의 창》으로는 1980년 제9회 일본 만화가 협회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베르사유의 장미》와 《오르페우스의 창》은 대한민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80년대 순정 만화계에서 서양 배경의 시대물이 주류를 이루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84년에는 불륜 상대였던 남성과의 대화 녹음 테이프를 언론사에 보내는 사건이 발생하여 스캔들이 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당시 주간지와 텔레비전 등에서 크게 다루어졌다.[18]
한때 성악가를 지망하여 만화계를 떠나기도 했으나,[32] 1999년부터 다시 작품 활동을 재개했다.[7] 이후 바그너의 동명 오페라를 만화화한 《니벨룽의 반지》(ニーベルンクの指輪|니베룽쿠노 유비와일본어, 2001년 ~ 2002년), 《베르바라kids》(ベルばらkids|베루바라 키즈일본어, 2005년부터 아사히 신문 연재), 배용준 주연의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만화판(2007년부터 연재) 등을 발표했다.[32][33]
2008년(일부 자료에서는 2009년[34]) 《베르사유의 장미》를 통해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Chevalier)를 수여받았다.[8] 2011년에는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에 게스트로 초청되기도 했다.[9]
2. 3. 성악가의 길
한때 성악가를 지망했던 이케다 리요코는 40세부터 갱년기 장애를 겪으며[19] 남은 인생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5년간의 숙고 끝에 45세가 되던 해, 음악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1995년 도쿄 음악 대학 성악과에 입학했다.[9] 대학 재학 중 피아니스트 HIROSHI와 함께 콘서트를 여는 등 활동했으며, 1999년 대학을 졸업했다.이케다의 목소리는 소프라노 음역대이며,[9] 졸업 후에도 콘서트 출연이나 강연 등 성악가로서의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2005년에는 마리 앙투아네트가 직접 작곡한 가곡 12곡(세계 최초 녹음 9곡 포함)을 담은 CD를 발매하기도 했다.
2. 4. 최근 활동
한때 성악가를 지망하여 만화계를 떠났으나 1999년부터 다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7] 만화계 복귀 이후에도 2000년대에 음악 학교에서 공부해 소프라노 가수로 활동하기도 했다.[9] 근작으로는 바그너의 동명 오페라를 만화화한 《니벨룽의 반지》(ニーベルンクの指輪|니베룽쿠노 유비와일본어, 4권, 2001년 ~ 2002년, 슈에이샤 발행)가 있다.[32]2005년부터는 《베르바라kids》(ベルばらkids|베르바라 키즈일본어)를 아사히신문에 연재하고 있으며,[33] 2007년 9월 25일부터는 배용준 주연의 한국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만화판을 고단샤의 정보주간지 《TOKYO★1주간》(TOKYO★1週間|도쿄 잇슈칸일본어)과 《KANSAI 1주간》(KANSAI1週間|간사이 잇슈칸일본어)에 연재하기 시작하였다.[33]
2009년 3월 11일,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통해 많은 일본인이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 언어, 식문화 등에 관심을 갖게 한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 훈장을 수여받았다.[22][34][8] 2011년에는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에 게스트로 참석했다.[9]
2009년부터 오페라 가수 村田孝高|무라타 다카타카일본어와 동거하고 있으며,[23] 2013년부터는 공동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24] 단가에도 조예가 깊어 2016년 8월 20일 오카야마시에서 열린 塔短歌会|토 단카카이일본어 전국 대회에 게스트로 참가했을 때 해당 모임에 입회를 표명했다. 2020년에는 첫 번째 가집 『쓸쓸한 뼈』를 출판했는데,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가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온 아버지가 주요 주제가 되었다.[11][25] 음대 재학 중에는 東敦子|히가시 아츠코일본어에게 사사했다.[26]
2017년에는 도쿄의 자택 겸 아틀리에였던 맨션의 임대료가 크게 오르자, 과거 설립했던 저작권 관리 회사의 퇴직금을 이용하여[26] 아타미의 맨션으로 이주하였다.
3. 작품 세계
이케다 리요코는 주로 유럽의 역사적 격동기를 배경으로 삼아, 운명적인 서사와 섬세하고 화려한 그림체를 결합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작품들은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함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작품 속 여성 인물들은 사회적 제약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과 의지에 따라 행동하는 주체적인 모습으로 그려져, 당시 순정만화의 전형적인 틀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단순히 수동적인 로맨스의 대상을 넘어 시대의 흐름에 맞서거나 고뇌하는 입체적인 캐릭터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에 대한 메시지를 탐구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한 《베르사이유의 장미》와 러시아 혁명 전후를 다룬 《올훼스의 창》 등이 있다.
3. 1. 영향
이케다 리요코의 작품인 《베르사유의 장미》와 《올훼스의 창》(オルフェウスの窓)은 대한민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이 작품들은 서양을 배경으로 한 시대물이 1980년대 대한민국 순정만화의 주류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2009년에는 《베르사유의 장미》를 통해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종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34]
4. 작품 목록
이케다 리요코는 1967년 《장미 저택의 소녀》를 시작으로 다수의 만화 작품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는 사회적 현상을 일으킨 베르사이유의 장미(1972년)를 비롯하여 디어 브라더(1975년), 올훼스의 창(1975년), 영광의 나폴레옹 – 에로이카(1986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자신의 작품과 관련된 다수의 화집, 일러스트집, 자료집 등을 출간했으며, 대표적으로 『베르사이유의 장미 올 컬러 일러스트 전집』(1976년), 『이케다 리요코 판타지 일러스트집』(1980년), 『베르바라 연재 개시 30주년 기념 베르사이유의 장미 대사전』(2002년) 등이 있다. 상세한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4. 1. 만화
- `《장미 저택의 소녀》` (1967년): 단편.
- `《프란체스카의 초상》` (1969년)
- `《조국에 사랑을》` (1969년)
- `《프리지아의 아침》` (1970년)
- `《둘이서 뽀치》` (1971년)
- `《살아서 다행이야!》` (1971년)
- `《천리향》` (1971년)
- `《마리코》` (1971년)
- `《벚꽃 교》` (1972년)
- `《베르사이유의 장미》` (1972년-1973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의한 무대화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애니메이션과 영화로도 제작되어 사회적 현상을 일으켰다.
- `《하얀 에크몬트》` (1973년)
- `《흔들리는 초춘》` (1973년)
- `《쇼코의 에튀드》` (1974년)
- `《오빠에게…》` (1974년): NHK BS2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1991년 7월 14일부터 1992년 5월 31일까지 방영되었다.
- `《오르페우스의 창》` (1975년-1981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에서 무대화되었으며, 세토우치 미야의 퇴단 공연 작품이 되었다.
- `《클로딘…!》` (1978년)
- `《아야코》` (1980년)
- `《에피타람: 결혼의 노래》` (1981년) (《에피타람》, 《에피타람-축혼가》)
- `《푸른 석류》` (1982년)
- `《여제 에카테리나》` (1982년-1984년): 앙리 트루아야 원작의 예카테리나 2세 전기를 만화화한 작품이다.
- `《베르사유의 장미 외전》` (1984년):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추가 챕터이다.
- `《영광의 나폴레옹 – 에로이카》` (1986년-199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일생을 그린 대작으로,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등장인물들이 다시 등장하여 속편의 성격도 가진다.
- `《유리의 어둠》` (1987년)
- `《미조 이야기》` (1988년)
- `《카스가노 쓰보네 지금, 화택을》` (1989년)
- `《천의 끝까지 – 폴란드 비사》` (1991년): 폴란드 분할의 비극을 그린 작품으로, 주인공은 나폴레옹 휘하의 원수였던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이다. `여제 에카테리나`, `베르사이유의 장미`, `영광의 나폴레옹-에로이카`의 외전적 성격도 지닌다.[10]
- `《쇼토쿠 태자》` (1992년-1994년)
- `《겨울의 축제》` (1997년)
- `《여왕 엘리자베스》` (1999년):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의 전기를 만화화한 작품이다. 이케다 리요코는 글을 담당하고 그림은 미야모토 에리카가 맡았다. 원제는 『엘리자베스 국(國)과 결혼한 여왕』이다.
- `《니벨룽의 반지》` (2000년-2001년): 리하르트 바그너의 동명 악극을 원작으로 한다.
- `《이케다 리요코 더 베스트: 사랑과 싸우는 여자들》` (2001년)
- `《팔콘의 명기슈》` (2004년): 바바라 카트랜드 원작.
- `《사랑은 왈츠에 실어》` (2005년): 바바라 카트랜드 원작.
- `《베르바라 키즈》` (2005년 10월-2013년 3월): 『아사히 신문』 토요일 조간 별책 「be」에 연재된 `베르사이유의 장미` 캐릭터들을 이용한 패러디 4컷 만화이다.
- `《봄의 눈》` (2006년): 미시마 유키오 원작 소설을 만화화한 작품으로, 미야모토 에리카가 그림을 담당했다.
- `《태왕사신기》` (2007년): 한국 드라마 태왕사신기를 만화화하여 2007년 9월 25일부터 연재했다.
- `《다케토리 이야기》` (2014년)
연도 미상 또는 기타:
- 《산들바람의 메리》 (단편)
- 《침정화》
- 《요우코》
- 《웨딩드레스》
- 《비 갠 뒤》
- 《사(私)만화》
- 《파라노이아》
- 《즈라이카》
- 《마이 다이아몬드》
- 《어른의 연애 시간》
- 《듣지 않았던 말》
- 《가을의 꽃》
- 《바람의 기억》
- 《요염한 여자 이야기》
- 《시지포스는 휴식한다》
- 《이케다 리요코 단편집》
- 《바람을 따는 프시케》 (야지마 마사오와 공동 작업)
- 《화려한 런던의 야회》 (바바라 카트랜드 원작)
- 《수수께끼의 귀부인》 (바바라 카트랜드 원작)
- 《국왕과 말괄량이 아가씨》 (바바라 카트랜드 원작)
- 《사랑은 영원히》 (주옥걸과 공동 작업)
4. 2. 기타 저서
- ''사랑과 고뇌 브람스'' (음악지우샤·주니어 음악 도서관 작곡가 시리즈, 1981년, 신장판 1997년), 아동용
- ''와인색의 중얼거림'' (국토사, 1983년)
- ''프랑스 혁명의 여인들'' (신초샤·잠자리의 책, 1985년), 도판 해설
- * 신장판 ''프랑스 혁명의 여인들 격동의 시대를 살아간 11명의 이야기'' (신초샤, 2021년 7월 / 신초 문고, 2024년 1월)
- ''왜 사랑에 거는가 여자로서 산다는 것'' (PHP 연구소, 1985년)
- ''남자와 여자 로맨틱 가도'' (쇼덴샤, 1989년)
- ''적어도 한 번의 인생이라면'' (해룡사, 1991년)
- ''꽃도 폭풍도 결혼도'' (슈에이샤, 1994년)
- ''문화로서의 만화와 역사'' (어드밴티지 서버 "소책자 살다", 1994년)
- ''명작을 쓴 여자들 자신을 살아간 13명의 인생'' (고단샤, 1995년), 주오코론신샤 문고, 1997년
- ''어떻게 하면 좋겠어!? 이케다 리요코의 초신상담'' (하쿠센샤, 1999년)
- ''때려줘, 마젯-47세의 음대생 일기'' (주오코론신샤, 1999년), 주오코론신샤 문고, 2002년
- ''자나 깨나 고양이 삼매경'' (주부와 생활사, 2002년)
- ''포기하지 않는 인생 꿈을 이루는 40부터의 삶의 방식·생각하는 방식'' (해룡사, 2005년)
- ''지식 제로에서 시작하는 오페라 입문'' (싹이 트는 시리즈: 겐토샤, 2010년)
- ''「베르사이유의 장미」로 풀어가는 프랑스 혁명'' (베스트 신서, 2016년)[30]
- ''이케다 리요코 제1가집 외로움 뼈'' (슈에이샤, 2020년)
- ''세리 샹블 2 미츠이시 유키코・이케다 리요코의 방'' (오분샤, 1985년)
- ''역사의 그림자 속 남자들'' (우노 아키라 공저, 쇼가쿠칸, 1996년)
- ''이케다 리요코의 세계'' (아사히 신문 출판, 2012년), 45주년 기념 무크, 대담, 인터뷰 외
- ''속・우리들이 아무것도 아니었던 시절의 이야기를 하자'' (분슌 신서, 2018년)
- : 그 외 히라타 오리자, 아키코 여왕, 오스미 요시노리, 나가타 카즈히로
- ''별을 잡은 여자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 바바라 카트랜드 자서전'' (산리오, 1996년) (번역)
- 슈가 로트보드 ''스위트 리벤지 달콤한 복수'' (일본문예사, 1996년) (번역)
- 다프니 로즈 킹마 ''「사랑의 이별」을 치유하는 책 새로운 인생과 마주하기 위한 마음의 처방전'' (다이와서방, 1996년) (번역)
- 다프니 로즈 킹마 ''안녕의 처방전 이별을 극복하고 확실한 사랑을 잡는 방법'' (다이와서방, 2000년) (번역)
5. 수상 및 서훈
2009년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통해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레종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34]
참조
[1]
간행물
A History of Manga
http://www.matt-thor[...]
2008-01-02
[2]
간행물
"''The Rose of Versailles'': Women and Revolution in Girls' Manga and the Socialist Movement in Japan"
https://eprints.bbk.[...]
2014-02
[3]
인터뷰
Artistic Revolution
Tokyo American Club
2023-09
[4]
뉴스
Japanese readers lap up comic books
https://www.newspape[...]
2021-05-18
[5]
웹사이트
Riyoko Ikeda
https://www.lambiek.[...]
2021-03-24
[6]
서적
Beyond Boundaries: Understanding, Translation and Anthropological Discourse
Berg Publishers
[7]
웹사이트
Historia de Amour — Riyoko Ikeda fanlisting
http://fan.sleety.or[...]
2018-08-13
[8]
뉴스
Rose of Versailles' Ikeda Receives France's Top Honor
http://www.animenews[...]
2009-07-11
[9]
웹사이트
Riyoko Ikeda au festival d'Angoulême
http://www.animeland[...]
Animeland
2016-10-16
[10]
웹사이트
Ten no Hate Made - Poland Hishi (manga) - Anime News Network
https://www.animenew[...]
2024-04-06
[11]
뉴스
池田理代子第一歌集 寂しき骨:父母を詠み、自らを歌う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1-28
[12]
뉴스
私の先生 目覚めた創作意欲 後押し
読売新聞
2013-09-26
[13]
웹사이트
Wendy Net News&Views|Ms Wendy バックナンバー 劇画家・声楽家 池田理代子さん
https://web.archive.[...]
2004-03
[14]
블로그
村田孝高と池田理代子のブログ - 2017年11月の日記
https://web.archive.[...]
[15]
서적
わたしの少女時代
岩波書店
[16]
웹사이트
池田理代子さん 「ベルばら」オスカルはなぜ女性に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社・日経BP
2019-09-13
[17]
방송
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 "ストレス王妃は断頭台に消えた"
2012-10-24
[18]
방송
独占速報!!池田理代子さんをついに発見!涙で語る不倫・破局・失踪の全て!
http://tvdate1953.wi[...]
2021-01-27
[19]
웹사이트
NHK知るを楽しむ 池田理代子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PR情報 朝日新聞主催 人生をさらに楽しく美しく!女性のいきいきセミナー トークショー出演者プロフィール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東淀川区ホームページ 新庄小学校
http://www.city.osak[...]
[22]
웹사이트
池田理代子氏がレジオン・ドヌール勲章シュヴァリエを受章
https://jp.ambafranc[...]
駐日フランス大使館
2021-07-04
[23]
웹사이트
「ベルばら」作者、詠み続けた胸中 池田理代子さん、第1歌集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02-14
[24]
웹사이트
2013年03月12日 皆さん、こんにちは!このブログにようこそ!!
http://baramyu-manat[...]
村田孝高(よしたか)と池田理代子のブログ~オペラと人生
2021-02-14
[25]
웹사이트
川本三郎「私が選んだベスト5」(レビュー)(Book Bang)
https://news.yahoo.c[...]
2021-01-06
[26]
웹사이트
オペラ歌手飛び立て 池田理代子さんが貯金ゼロの理由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社・日経BP
2019-09-06
[27]
뉴스
風薫る飛鳥6 進取のスター 聖徳太子
朝日新聞
2007-05-14
[28]
웹사이트
No.49 池田 理代子(いけだ りよこ) ― 劇画家・作家
https://web.archive.[...]
荒川区芸術文化振興財団
2012-04-19
[29]
뉴스
ベルばら『池田理代子』の聖徳太子マンガに『盗作疑惑』
週刊新潮
2008-01-24
[30]
뉴스
「ベルばら」の池田理代子、フランス革命を読み解く歴史エッセイを刊行
https://natalie.mu/c[...]
2016-06-29
[31]
기타
神戸線・宝塚線・京都線に沿線の観光スポットなどを新たにデザインしたラッピング列車が登場します!
http://www.hankyu-ha[...]
阪急電鉄
2018-03-15
[32]
뉴스
1947년 日만화작가 이케다 출생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6-16
[33]
뉴스
'베르사이유의 장미' 만화가가 배용준 그린다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0070915201542
[34]
웹인용
Rose of Versailles’ Ikeda Receives France's Top Honor
http://www.animenews[...]
Anime News Network
2012-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